정기 1회 | 필기 | 실기 |
원서접수 | 1.13 (월) ~ 1.16 (목) | 3.24 (월) ~ 3.27 (목) |
시험 | 2.7 (금) ~ 3.4 (화) | 4.19 (토) ~ 5.9 (금) |
발표 | 3.12 (수) | 6.13 (금) |
응시자격 기준일: 3.4 (화) |
정기 2회 | 필기 | 실기 |
원서접수 | 4.14 (월) ~ 4.17 (목) | 6.23 (월) ~ 6.26 (목) |
시험 | 5.10 (토) ~ 5.30 (금) | 7.19 (토) ~ 8.6 (수) |
발표 | 6.11 (수) | 9.12 (금) |
응시자격 기준일: 5.30 (금) |
정기 3회 | 필기 | 실기 |
원서접수 | 7.21 (월) ~ 7.24 (목) | 9.22 (월) ~ 9.25 (목) |
시험 | 8.9 (토) ~ 9.1 (월) | 11.1 (토) ~ 11.21 (금) |
발표 | 9.10 (수) | 12.24 (수) |
응시자격 기준일: 9.1 (월) |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의 09:00
※ 세부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q-net.or.kr) 참조
식품안전기사란?
사회발전과 생활의 변화에 따라 식품에 대한 욕구도 양적측면보다 질적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식품제조가공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식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공정이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인력을 양성 하기 위하여 제정된 자격증이다.
수행업무
식품안전기사는 식품기술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식품재료의 선택에서부터
새로운 식품의 기획, 개발, 분석, 검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식품제조 및 가공공정, 식품의 보존과 저장공정에 대한 관리, 감독의 업무를 수행한다.

식품 가공기능사 |
|
식품 산업기사 |
|
식품안전기사 |
|
식품기술사 |
|
음식에 대한 소비욕구의 다양화와 추세로 인해 맛과 영양, 위생안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업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식품 재료와 제품에 관한 연구 개발,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될 뿐 아니라 식품제조공정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전문기술인력이 요구된다.
- 주로 식품제조·가공업체,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체, 식품연구소 등으로 진출한다.
- 학계나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식품위생법」에 의해 식품위생감시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혜택사항은 기업 내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각 기업체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주요 취업 기업 | 가산점 및 혜택 | 주요 업무 |
---|---|---|
[공기업] KGC인삼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안전정보원 |
기술사/기사 2점, 산업기사 1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5급 기준) |
|
식품위생직 공무원 |
<공채-9급기준> · 기술사/기사/산업기사 5% · 기능사 3% <경채> · 기사/산업기사 자격 요건 |
|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 |
자격 요건 |
|
축산물 위생감시원 |
자격 요건 |
|
필기 |
|
---|---|
실기 |
|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의 09:00입니다. 응시료
구분 | 식품안전기사 | 식품산업기사 |
---|---|---|
필기 | 19,400원 | 19,400원 |
실기 | 22,600원 | 55,400원 |
관련학과 전공자 |
|
---|---|
기술자격 소지자 |
|
순수 경력자 |
|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관련학과
-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음식서비스
관련학과 전공자 |
|
---|---|
기술자격 소지자 |
|
순수 경력자 |
|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관련학과
-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음식서비스
CBT(Computer Based Test) 시험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해 시험에 응시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기사 시험과 같이 시험지와 OMR 카드를 활용하여 진행되던 PBT(Paper Based Test) 방식과는 달리 문제 확인, 정답 입력 및 성적 처리까지 모두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구분 | CBT | PBT |
---|---|---|
출제방식 |
·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 · 응시자별 문제가 모두 다름 |
· 출제자의 문제 제작 및 출제 · 모두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며, 순서만 다름(A형/B형 |
시험 방식 |
·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 확인 및 클릭으로 정답 입력 · 정답 수정 시 클릭을 통해 곧바로 수정 가능 |
· 종이 문제지를 통해 문제 확인 · OMR 카드 마킹으로 답안지 기재 · 정답 수정 시 OMR 카드를 교체하여 다시 기입 |
합격 확인 | · 시험 직후 결과 및 합격 여부 확인이 가능 | · 시험 이후 일정 기간(2주 정도)이 소요됨 |
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를 확인합니다.
② 남은 시간 및 풀지 않은 문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문제의 정답을 클릭하여 마킹합니다. 위치가 혼동될 경우 문제의 보기를 직접 클릭하여도 동일하게 마킹됩니다.
④ 계산이 필요한 경우 ‘공학용 계산기’를 클릭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⑤ 모든 답안을 완성한 후 ‘제출하기’ 버튼을 눌러 답안지를 제출합니다. 답안 제출과 동시에 취득 점수 및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9,379 | 3,762 | 40.1% | 6,869 | 1,255 | 18.3% |
2023 | 9,022 | 3,793 | 42.0% | 5,517 | 1,469 | 26.6% |
2022 | 6,811 | 2,864 | 42% | 5,661 | 1,919 | 33.9% |
2021 | 7,519 | 3,673 | 48.8% | 7,032 | 1,264 | 18% |
2020 | 7,874 | 4,258 | 54.1% | 7,136 | 785 | 11%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1,887 | 719 | 38.1% | 685 | 539 | 78.7% |
2023 | 2,190 | 793 | 36.2% | 800 | 644 | 80.5% |
2022 | 2,309 | 954 | 41.3% | 976 | 803 | 82.3% |
2021 | 2,444 | 1,137 | 46.5% | 1,029 | 849 | 82.5% |
2020 | 1,773 | 919 | 51.8% | 829 | 718 | 86.6% |


* 해커스 식품기사 교수진이 2025 개정 전 과년도 5개년 기출문항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 총 5과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각 과목이 서로 연계되어 있고 해당 과목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문제가 간혹 출제되기도 함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식중독 |
12문항 (20.0%) |
13문항 (21.7%) |
17문항 (28.3%) |
17문항 (28.3%) |
12문항 (20.0%) |
Chapter 2
식품과 감염병 |
9문항 (15.0%) |
11문항 (18.3%) |
7문항 (11.7%) |
9문항 (15.0%) |
9문항 (15.0%) |
Chapter 3
식품첨가물 |
7문항 (11.7%) |
9문항 (15.0%) |
9문항 (15.0%) |
9문항 (15.0%) |
8문항 (13.3%) |
Chapter 4
유해물질 |
4문항 (6.7%) |
4문항 (6.7%) |
8문항 (13.3%) |
7문항 (11.7%) |
8문항 (13.3%) |
Chapter 5
식품공장의 위생관리 /HACCP |
3문항 (5.0%) |
6문항 (10.0%) |
4문항 (6.7%) |
5문항 (8.3%) |
8문항 (13.3%) |
Chapter 6
식품위생검사 |
1문항 (1.7%) |
3문항 (5.0%) |
4문항 (6.7%) |
3문항 (5.0%) |
6문항 (10.0%) |
Chapter 7
식품의 변질과 보존 |
12문항 (20.0%) |
8문항 (13.3%) |
8문항 (13.3%) |
8문항 (13.3%) |
7문항 (11.7%) |
Chapter 8
식품위생관련법규 |
11문항 (18.3%) |
4문항 (6.7%) |
2문항 (3.3%) |
2문항 (3.3%) |
1문항 (1.7%) |
기타 | 1문항 (1.7%) |
2문항 (3.3%) |
1문항 (1.7%) |
0문항 (0.0%) |
1문항 (1.7%)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식품화학개요 |
- | - | - | - | - |
Chapter 2
수분 |
1문항 (1.7%) |
3문항 (5.0%) |
2문항 (3.3%) |
2문항 (3.3%) |
2문항 (3.3%) |
Chapter 3
탄수화물 |
8문항 (13.3%) |
12문항 (20.0%) |
7문항 (11.7%) |
6문항 (10.0%) |
6문항 (10.0%) |
Chapter 4
단백질 |
6문항 (10.0%) |
7문항 (11.7%) |
10문항 (16.7%) |
7문항 (11.7%) |
5문항 (8.3%) |
Chapter 5
지질 |
6문항 (10.0%) |
8문항 (13.3%) |
9문항 (15.0%) |
3문항 (5.0%) |
11문항 (18.3%) |
Chapter 6
무기질 |
3문항 (5.0%)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Chapter 7
비타민 |
2문항 (3.3%) |
4문항 (6.7%) |
0문항 (0.0%) |
4문항 (6.7%) |
3문항 (5.0%) |
Chapter 8
식품의 특수성분 |
13문항 (21.7%) |
8문항 (13.3%) |
12문항 (20.0%) |
11문항 (18.3%) |
12문항 (20.0%) |
Chapter 9
식품의 물성 |
8문항 (13.3%) |
8문항 (13.3%) |
8문항 (13.3%) |
7문항 (11.7%) |
6문항 (10.0%) |
Chapter 10
식품의 평가 |
5문항 (8.3%) |
3문항 (5.0%) |
4문항 (6.7%) |
5문항 (8.3%) |
4문항 (6.7%) |
Chapter 11
식품성분분석 |
6문항 (10.0%) |
5문항 (8.3%) |
5문항 (8.3%) |
6문항 (10.0%) |
7문항 (11.7%) |
기타 | 2문항 (3.3%) |
1문항 (1.7%) |
2문항 (3.3%) |
8문항 (13.3%) |
3문항 (5.0%)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곡류 및 서류가공 |
8문항 (13.3%) |
10문항 (16.7%) |
9문항 (15.0%) |
12문항 (20.0%) |
9문항 (15.0%) |
Chapter 2
두류가공 |
7문항 (11.7%) |
6문항 (10.0%) |
6문항 (10.0%) |
6문항 (10.0%) |
4문항 (6.7%) |
Chapter 3
과채류가공 |
5문항 (8.3%) |
7문항 (11.7%) |
4문항 (6.7%) |
6문항 (10.0%) |
4문항 (6.7%) |
Chapter 4
유지가공 |
7문항 (11.7%) |
6문항 (10.0%) |
7문항 (11.7%) |
5문항 (8.3%) |
7문항 (11.7%) |
Chapter 5
유가공 |
5문항 (8.3%) |
6문항 (10.0%) |
7문항 (11.7%) |
6문항 (10.0%) |
5문항 (8.3%) |
Chapter 6
육류가공 |
3문항 (5.0%) |
8문항 (13.3%) |
6문항 (10.0%) |
4문항 (6.7%) |
6문항 (10.0%) |
Chapter 7
알가공 |
2문항 (3.3%) |
3문항 (5.0%) |
1문항 (1.7%) |
4문항 (6.7%) |
3문항 (5.0%) |
Chapter 8
수산물가공 |
4문항 (6.7%) |
1문항 (1.7%) |
4문항 (6.7%) |
1문항 (1.7%) |
3문항 (5.0%) |
Chapter 9
식품의 저장 |
12문항 (20.0%) |
11문항 (18.3%) |
11문항 (18.3%) |
11문항 (18.3%) |
11문항 (18.3%) |
Chapter 10
식품공학 |
6문항 (10.0%) |
2문항 (3.3%) |
4문항 (6.7%) |
3문항 (5.0%) |
2문항 (3.3%) |
기타 | 1문항 (1.7%) |
0문항 (0.0%) |
1문항 (1.7%) |
2문항 (3.3%) |
4문항 (6.7%)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미생물 일반 |
18문항 (30.0%) |
8문항 (13.3%) |
12문항 (20.0%) |
12문항 (20.0%) |
9문항 (15.0%) |
Chapter 2
식품미생물 |
32문항 (53.3%) |
39문항 (65.0%) |
36문항 (60.0%) |
40문항 (66.7%) |
42문항 (70.%) |
Chapter 3
미생물의 분리보존 및 균주개량 |
4문항 (6.7%) |
7문항 (11.7%) |
5문항 (8.3%) |
4문항 (6.7%) |
3문항 (5.0%) |
Chapter 4
발효식품 및 관련 미생물 |
4문항 (6.7%) |
4문항 (6.7%) |
5문항 (8.3%) |
1문항 (1.7%) |
5문항 (8.3%) |
Chapter 5
기타 발효 |
1문항 (1.7%) |
1문항 (1.7%) |
2문항 (3.3%) |
1문항 (1.7%) |
1문항 (1.7%) |
기타 | 1문항 (1.7%) |
1문항 (1.7%) |
0문항 (0.0%) |
2문항 (3.3%) |
0문항 (0.0%)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효소 |
3문항 (5.0%) |
6문항 (10.0%) |
4문항 (6.7%) |
5문항 (8.3%) |
6문항 (10.0%) |
Chapter 2
탄수화물 대사 |
8문항 (13.3%) |
7문항 (11.7%) |
9문항 (15.0%) |
10문항 (16.7%) |
10문항 (16.7%) |
Chapter 3
지질 대사 |
4문항 (6.7%) |
2문항 (3.3%) |
1문항 (1.7%)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4
단백질 대사 |
9문항 (15.0%) |
7문항 (11.7%) |
4문항 (6.7%) |
5문항 (8.3%) |
2문항 (3.3%) |
Chapter 5
핵산 |
7문항 (11.7%) |
10문항 (16.7%) |
9문항 (15.0%) |
8문항 (13.3%) |
7문항 (11.7%) |
Chapter 6
비타민 |
6문항 (10.0%) |
5문항 (8.3%) |
6문항 (10.0%) |
5문항 (8.3%) |
8문항 (13.3%) |
Chapter 7
발효공학의 기초 |
8문항 (13.3%) |
4문항 (6.7%) |
6문항 (10.0%) |
3문항 (5.0%) |
4문항 (6.7%) |
Chapter 8
발효공학의 산업이용 |
15문항 (25.0%) |
19문항 (31.7%) |
21문항 (35.0%) |
21문항 (35.0%) |
19문항 (31.7%) |
기타 | 0문항 (0.0%) |
0문항 (0.0%) |
0문항 (0.0%) |
0문항 (0.0%) |
1문항 (1.7%) |
* 해커스 식품기사 교수진이 과년도 5개년 기출문항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 총 5과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각 과목이 서로 연계되어 있고 해당 과목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문제가 간혹 출제되기도 함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식중독 |
14문항 (23.3%) |
13문항 (21.7%) |
15문항 (25.0%) |
13문항 (21.7%) |
11문항 (18.3%) |
Chapter 2
식품과 감염병 |
8문항 (13.3%) |
8문항 (13.3%) |
7문항 (11.7%) |
7문항 (11.7%) |
6문항 (10.0%) |
Chapter 3
식품첨가물 |
12문항 (20.0%) |
11문항 (18.3%) |
5문항 (8.3%) |
5문항 (8.3%) |
7문항 (11.7%) |
Chapter 4
유해물질 |
7문항 (11.7%) |
5문항 (8.3%) |
4문항 (6.7%) |
4문항 (6.7%) |
3문항 (5.0%) |
Chapter 5
식품공장의 위생관리 /HACCP |
2문항 (3.3%) |
5문항 (8.3%) |
8문항 (13.3%)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6
식품위생검사 |
6문항 (10.0%) |
9문항 (15.0%) |
7문항 (11.7%) |
6문항 (10.0%) |
4문항 (6.7%) |
Chapter 7
식품의 변질과 보존 |
4문항 (6.7%) |
4문항 (6.7%) |
4문항 (6.7%) |
1문항 (1.7%) |
4문항 (6.7%) |
Chapter 8
식품위생관련법규 |
7문항 (11.7%) |
5문항 (8.3%) |
8문항 (13.3%) |
1문항 (1.7%) |
2문항 (3.3%) |
기타 | 0문항 (0.0%) |
0문항 (0.0%) |
2문항 (3.3%) |
0문항 (0.0%) |
0문항 (0.0%)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식품화학개요 |
- | - | - | - | - |
Chapter 2
수분 |
5문항 (8.3%) |
2문항 (3.3%) |
2문항 (3.3%) |
3문항 (5.0%) |
0문항 (0.0%) |
Chapter 3
탄수화물 |
9문항 (15.0%) |
8문항 (13.3%) |
7문항 (11.7%) |
8문항 (13.3%) |
4문항 (6.7%) |
Chapter 4
단백질 |
4문항 (6.7%) |
4문항 (6.7%) |
8문항 (13.3%) |
1문항 (1.7%) |
7문항 (11.7%) |
Chapter 5
지질 |
5문항 (8.3%) |
5문항 (8.3%) |
9문항 (15.0%) |
4문항 (6.7%) |
5문항 (8.3%) |
Chapter 6
무기질 |
4문항 (6.7%) |
1문항 (1.7%) |
1문항 (1.7%) |
2문항 (3.3%) |
2문항 (3.3%) |
Chapter 7
비타민 |
3문항 (5.0%) |
7문항 (11.7%) |
2문항 (3.3%) |
3문항 (5.0%) |
1문항 (1.7%) |
Chapter 8
식품의 특수성분 |
7문항 (11.7%) |
13문항 (21.7%) |
11문항 (18.3%) |
4문항 (6.7%) |
10문항 (16.7%) |
Chapter 9
식품의 물성 |
8문항 (13.3%) |
7문항 (11.7%) |
7문항 (11.7%) |
4문항 (6.7%) |
6문항 (10.0%) |
Chapter 10
식품의 평가 |
5문항 (8.3%) |
2문항 (3.3%) |
5문항 (8.3%) |
4문항 (6.7%) |
0문항 (0.0%) |
Chapter 11
식품성분분석 |
8문항 (13.3%) |
7문항 (11.7%) |
6문항 (10.0%) |
6문항 (10.0%) |
2문항 (3.3%) |
기타 | 2문항 (3.3%) |
4문항 (6.7%) |
2문항 (3.3%) |
1문항 (1.7%) |
0문항 (0.0%)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곡류 및 서류가공 |
8문항 (13.3%) |
9문항 (15.0%) |
9문항 (15.0%) |
6문항 (10.0%) |
6문항 (10.0%) |
Chapter 2
두류가공 |
5문항 (8.3%) |
3문항 (5.0%) |
5문항 (8.3%) |
4문항 (6.7%) |
3문항 (5.0%) |
Chapter 3
과채류가공 |
7문항 (11.7%) |
8문항 (13.3%) |
8문항 (13.3%) |
3문항 (5.0%) |
4문항 (6.7%) |
Chapter 4
유지가공 |
7문항 (11.7%) |
8문항 (13.3%) |
6문항 (10.0%) |
4문항 (6.7%) |
5문항 (8.3%) |
Chapter 5
유가공 |
7문항 (11.7%) |
5문항 (8.3%) |
6문항 (10.0%) |
5문항 (8.3%) |
4문항 (6.7%) |
Chapter 6
육류가공 |
6문항 (10.0%) |
5문항 (8.3%) |
7문항 (11.7%) |
5문항 (8.3%) |
3문항 (5.0%) |
Chapter 7
알가공 |
3문항 (5.0%) |
4문항 (6.7%) |
3문항 (5.0%) |
3문항 (5.0%) |
2문항 (3.3%) |
Chapter 8
수산물가공 |
3문항 (5.0%) |
5문항 (8.3%) |
2문항 (3.3%) |
0문항 (0.0%) |
2문항 (3.3%) |
Chapter 9
식품의 저장 |
8문항 (13.3%) |
7문항 (11.7%) |
8문항 (13.3%) |
8문항 (13.3%) |
6문항 (10.0%) |
Chapter 10
식품공학 |
4문항 (6.7%) |
4문항 (6.7%) |
5문항 (8.3%) |
2문항 (3.3%) |
1문항 (1.7%) |
기타 | 2문항 (3.3%) |
2문항 (3.3%) |
1문항 (1.7%) |
0문항 (0.0%) |
4문항 (6.7%)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미생물 일반 |
9문항 (15.0%) |
8문항 (13.3%) |
8문항 (13.3%) |
6문항 (10.0%) |
5문항 (8.3%) |
Chapter 2
식품미생물 |
34문항 (56.7%) |
38문항 (63.3%) |
37문항 (61.7%) |
25문항 (62.5%) |
25문항 (62.5%) |
Chapter 3
미생물의 분리보존 및 균주개량 |
2문항 (3.3%)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Chapter 4
발효식품 및 관련 미생물 |
9문항 (15.0%) |
7문항 (11.7%) |
9문항 (15.0%) |
5문항 (8.3%) |
4문항 (6.7%) |
Chapter 5
기타 발효 |
5문항 (8.3%) |
5문항 (8.3%) |
4문항 (6.7%) |
2문항 (3.3%) |
2문항 (3.3%) |
기타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1문항 (1.7%) |
3문항 (5.0%) |
구분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
Chapter 1
선별 |
4문항 (6.7%) |
4문항 (6.7%) |
6문항 (10.0%)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2
세척 |
2문항 (3.3%) |
4문항 (6.7%) |
2문항 (3.3%) |
0문항 (0.0%) |
2문항 (3.3%) |
Chapter 3
분쇄 |
6문항 (10.0%) |
6문항 (10.0%) |
5문항 (8.3%)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4
혼합 및 유화 |
5문항 (8.3%) |
4문항 (6.7%) |
4문항 (6.7%)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5
성형 |
6문항 (10.0%) |
8문항 (13.3%) |
5문항 (8.3%) |
1문항 (1.7%) |
3문항 (5.0%) |
Chapter 6
원심분리 |
3문항 (5.0%) |
2문항 (3.3%) |
3문항 (5.0%) |
5문항 (8.3%) |
2문항 (3.3%) |
Chapter 7
여과 |
4문항 (6.7%) |
3문항 (5.0%) |
5문항 (8.3%) |
3문항 (5.0%) |
3문항 (5.0%) |
Chapter 8
추출 |
3문항 (5.0%) |
4문항 (6.7%) |
3문항 (5.0%) |
0문항 (0.0%) |
3문항 (5.0%) |
Chapter 9
이송 |
2문항 (3.3%) |
2문항 (3.3%) |
1문항 (1.7%) |
1문항 (1.7%) |
0문항 (0.0%) |
Chapter 10
건조 |
8문항 (13.3%) |
8문항 (13.3%) |
9문항 (15.0%) |
5문항 (8.3%) |
5문항 (8.3%) |
Chapter 11
농축 |
4문항 (6.7%) |
4문항 (6.7%) |
3문항 (5.0%) |
0문항 (0.0%) |
4문항 (6.7%) |
Chapter 12
살균 |
8문항 (13.3%) |
6문항 (10.0%) |
9문항 (15.0%) |
10문항 (16.7%) |
5문항 (8.3%) |
기타 | 5문항 (8.3%) |
5문항 (8.3%) |
5문항 (8.3%) |
6문항 (10.0%) |
4문항 (6.7%) |
기존 식품위생학 과목과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HACCP과 식품위생관련법규 항목의 비중이 매우 높아졌고,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는 쪽으로 개정되었습니다. 기존에는 HACCP의 일반적인 개요 위주로 문제가 출제가 되었으나, 개정 이후에는 매우 세부적이고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학습전략HACCP의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우선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고시를 정독하고 이와 관련된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을 정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내용이 광범위하고 이해가 어렵다고 생각된다면, 법령의 중요한 내용만 발췌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해커스 필기 이론 부분을 학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5년부터 식품기사가 식품안전기사로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 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화학 과목과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존 식품위생학 과목의 유해물질과 식품첨가물 항목이 식품화학에 추가되었습니다.
(2) 학습전략기존 식품화학 과목에서는 식품의 특수성분, 지질, 탄수화물, 식품의 물성, 단백질 순으로 출제율이 높기는 했지만, 비타민과 무기질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골고루 출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2025년에 추가된 유해물질, 식품첨가물까지 추가하여 균형감 있게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chapter별로 주로 출제되는 부분이 있으므로(수분은 수분활성도, 탄수화물은 전분의 호화와 노화, 단백질은 변성, 지질은 유지의 산화) 출제율이 높은 부분 위주로 학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5년부터 식품기사가 식품안전기사로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 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가공학과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존 식품화학 과목의 관능평가 항목이 식품가공·공정공학에 추가되었습니다.
(2) 학습전략기존 식품가공학 과목에서는 식품의 저장, 곡류서류가공, 유지가공, 과채류가공 순으로 출제율이 높았습니다. 매 시험마다 식품공학 관련 계산문제가 1~2문제 출제되고 살균조건 설정 관련 계산 문제도 종종 출제되었는데, 몇 가지 계산공식과 단위환산 방법만 익혀두면 숫자만 대입하여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으므로 포기하지 말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식품가공·공정공학 기존 필답시험에서 출제율(약36%)이 높았으므로 필기시험 준비 시에 이론부터 충실히 학습하기를 권장합니다.
2025년부터 식품기사가 식품안전기사로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 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미생물학 과목과 생화학 및 발효학 과목이 한 과목으로 통합되었습니다.
(2) 학습전략이 과목을 효율적이고 전략적을 대비하기 위해서 식품미생물과 발효공학 chapter에 조금 더 비중으로 두어 학습하고, 생화학은 기존 출제문제 위주로 중요한 부분만 학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식품미생물과 발효공학은 식품 안전, 식품가공·공정공학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론부터 차근차근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식품미생물과 발효공학에서 다루는 미생물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모든 미생물을 학습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선 큰 틀에서 미생물의 분류를 이해하고, 주로 출제되는 중요한 미생물을 별도로 정리하여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2025년부터 식품기사가 식품안전기사로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 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가공학 과목과 식품제조공정 과목이 한 과목으로 통합되었습니다.
(2) 학습전략기존 식품가공학 과목에서는 식품의 저장, 곡류서류가공, 유가공, 유지가공 순으로 출제율이 높았습니다. 매 시험마다 식품공학 관련 계산문제가 1~2문제 출제되고 살균조건 설정 관련 계산 문제도 종종 출제되었는데, 몇 가지 계산공식과 단위환산 방법만 익혀두면 숫자만 대입하여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으므로 포기하지 말고 학습하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출제기준이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3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화학 과목과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존 식품위생학 과목의 유해물질과 식품첨가물 항목이 식품화학에 추가되었습니다.
(2) 학습전략기존 식품화학 과목에서는 식품의 특수성분, 탄수화물, 식품의 물성, 단백질, 지질 순으로 출제율이 높기는 했지만, 비타민과 무기질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골고루 출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2025년에 추가된 유해물질, 식품첨가물까지 추가하여 균형감 있게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chapter별로 주로 출제되는 부분이 있으므로(수분은 수분활성도, 탄수화물은 전분의 호화와 노화, 단백질은 변성, 지질은 유지의 산화) 출제율이 높은 부분 위주로 학습하는 것을 추천니다.
2025년부터 출제기준이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3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기존 식품미생물학 과목과 식품위생학 과목의 일부내용(HACCP과 식품위생관련법규)이 한과목으로 통합되었습니다. 기존에는 HACCP의 일반적인 개요 위주로 문제가 출제가 되었으나, 개정 이후에는 매우 세부적이고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학습전략HACCP의 체계적이 학습을 위해 우선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고시를 정독하고 이와 관련된 「식품위생법」,「축산물위생관리법」,「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을 정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내용이 광범위하고 이해가 어렵다고 생각된다면, 법령의 중요한 내용만 발췌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해커스 교재 내 필기 이론을 학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식품미생물과 발효공학 chapter에서 다루는 미생물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모든 미생물을 학습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선 큰 툴에서 미생물의 분류를 이해하고, 주로 출제되는 중요한 미생물을 별도로 정리하여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2025년부터 출제기준이 개정되면서 필기시험 과목이 5과목에서 3과목으로 개편되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HACCP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됩니다.
과목은 줄어들었으나, 기존 5과목의 주요 내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특히HACCP 부분의 비중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기존의 이론과 기출을 학습하면서 HACCP을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합니다.
번호 | 제목 |
---|